국내증시를 떠나서 미증시로 향하는 개미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들을 서학개미라고 한다. 이 투자자들은 왜 국내증시를 버리고 미국증시로 떠나는 걸까? 미국주식시장에는 수익을 낼 수 있는 기회가 얼마나 있을까?
목차
늘어나는 서학개미
요즘 서학개미들이 늘고 있다는 기사가 많다. 그만큼 국내증시보다 미증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는 말이 아닐까?
미증시에 대해서 잘 모르고 해외계좌도 만들기 전에는 주식은 국내증시만 해야 하는 줄만 알았다. 그러나 테슬라가 급등을 하고 엔비디아가 폭등했다는 이야기를 듣고는 생각이 많이 바뀌었다. 주식을 공부하다 보니 국내증시는 미증시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미증시가 세계의 자본의 중심이고, 미증시의 움직임에 따라서 모든 나라의 증시가 영향을 받는 것 같다. 특히나 우리나라 더욱 미증시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을까?
국내증시에 많은 테마주가 있다. 국내의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서 영향을 받아서 주가가 급등락을 하는 경우도 많이 있지만, 전날 미증시의 어느 종목의 영향으로 테마주가 되어 급등락을 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미증시는 국내증시와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인 것이다. 미국은 우리나라와 시차가 크게 나서 거의 자정부터 새벽까지 주식장이 열린다. 미증시에서 주식을 하려면 밤을 새우면서 주식시장을 봐야 한다는 말이다. 그러나 요즘 증권사에서 서학개미가 늘어나자 낮에도 주식을 매매할 수 있도록 해놓았다. 미증시에 투자하고 관심을 가지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는 말이다.
미증시는 국내증시보다 20배 이상 자금규모가 크다. 미증시는 세계에서 가장 큰 주식시장으로서, 주요 거래소를 포함한 시가총액이 45조 달러 이상이며, 이는 글로벌 시가총액의 약 40%를 차지할 정도로 압도적인 규모이다. 이에 반해 한국은 코스피와 코스닥 시장을 포함하여 시가총액이 약 2% 미만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세계의 주요한 자금이 미증시로 모이고 있고, 큰 투자의 기회가 미증시에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정말 세계적인 기업들이 미증시에 상장되어 있고, 투자 문화에서도 미국은 개인과 기관 모두 활발하게 주식투자를 하고 있으며, 연금 자산 등 장기투자 자금도 증시에 대거 유입되어 있다.
성숙한 자본시장
미증시는 성숙한 자본시장이며, 배당금수익을 위한 투자문화가 있다
미국 증시에 상장된 많은 기업들은 회사 성장에 맞춰 배당금을 꾸준히 인상하며 주주에게 배당하는 문화가 잘 정착되어 있다. 그래서 많은 미국인들이 은퇴 이후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확보하기 위해 배당금을 주요 수입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배당주는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기 때문에 은퇴 준비를 위한 투자로 인기가 높다. 더욱이 미국에서는 장기 보유 시 배당 소득에 대한 세율이 낮기 때문에 배당주 투자가 세금 측면에서도 유리하므로, 이러한 세제 혜택은 배당금을 통한 소득 창출을 더욱 매력적으로 만든다.
이렇게 배당주를 장기투자하여 꾸준하게 수익을 낼 수 있는 이유는 지속적으로 우상향 하여 성장한 미증시 차트를 봐야 한다. S&P500 차트를 보면 정말 멋지게 우상향 하는 차트를 볼 수 있다. 국내증시와 비교할 수가 없다. S&P 500 차트가 그렇다면 당연히 500개 안에 포함된 기업 안에는 멋지게 우상향 하는 종목들이 많다는 것이다.
이렇게 코스피와 S&P500 차트를 비교해서 보면 확연한 차이가 있지 않은가? 조금 속상하지만 미증시는 2008년 하락 이후 5배 정도 상승했는데, 우리나라 증시는 2.5배 정도밖에 상승하지 못했다. 그만큼 지수에 포함된 종목들의 주가가 크게 상승하지 못했다는 말이다.
글로벌 시대인 만큼 국내증시에만 관심을 기울여서야 되겠나? 그리고 미증시에서 수익을 내면 외화벌이도 된다. 우리나라 국민이 미증시에도 관심을 가져 달러를 벌어들이면 좋겠다.
앞으로 S&P500에 상장된 종목을 중심으로 각 종목에 대한 글을 쓰고자 한다. 많은 관심을 가져주면 좋겠다.
'미증시시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 500 지수는 어떤 이슈가 생기더라도 결국 상승하지 않을까? (5) | 2024.09.23 |
---|---|
SEC에서 기업들이 제출하는 주요 보고서 (서학개미가 알아야 할 필수 정보) (1) | 2024.09.09 |
미증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경제 지표에 대해 알아보자 (6) | 2024.09.09 |